연금저축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금융|2022. 9. 19. 01:57

 

연금저축은 크게 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보험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또 연금보험이라는 상품도 있습니다.

 

여기서 연금보험이라는 상품은 이 글에서 다르지 않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은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으로는 많이 다른 상품입니다.

 

더 상품은 공통적으로 종합소득세나 연말정산때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사와의 계약으로 정해놓은 금액을 다달히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본인이 원할 때 아무 액수나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납입 한도는 연간 1,800만원까지구요. 

 

세액 공제는 최대 400만원만 혜택을 줍니다.

소득이 5,500만원 미만의 사람들은 400만원의 16.5% 까지 혜택을 받고,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13.2%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연금저축은 400만원을 초과한 돈에 대해서는 패널티 전혀 없이 인출이 가능합니다.

본인이 세금 혜택을 봤다면 이 계좌는 55살까지 깨서는 안됩니다.

 

본인이 혜택을 받은것보다 패널티가 많기 때문이죠.

 

글쓴이는 증권사에서 만들 수 있는 연금저축펀드 상품을 더욱 추천하고 싶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이 나쁜 상품이라 할 수는 없으나 보험회사는 증권회사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연금저축보험을 든 사람들의 수익률은 평균 2%도 되지 않았으나, 연금저축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17%에 달한 것만 봐도 알 수 있죠.

 

그러므로 증권회사의 연금저축펀드를 추천합니다.

 

 

 

20대부터 연금저축을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이정도로 긴 인내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얼마 없거든요.

 

그러나 30대 중반부터는 이제 미래에 대한 대비를 해 놔야 합니다.

5년 이상 저축을 해야 하고 55살이 된 순간부터 10년에 걸쳐 나누어 받아야 합니다.

 

연금 저축은 직업이 없는 사람에게도 무척 유용한 상품입니다.

직장인이나 자영업, 프리랜서들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비록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던 만큼 연금소득세가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시 세금이 5.5%를 넘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조건이 있습니다.

 

다른 주식이나 EFT상품에 비해 월등히 세금이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를 통해 수익이 나면 수익의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게 되죠.

 

해외 EFT상품은 수익 250만원을 공제하고 초과분에 대한 이득은 22%의 세금을 내게 도비니다.

 

연금저축이 왜 선택이 아닌 필수인지 이쯤 되면 모를수가 없겠죠.

 

단점은 매우 오랫동안 장기 투자를 인내심있게 해야 한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운용은 어떻게 해야 할까?

 

연금저축펀드는 본인이 직접 운용을 해야 합니다.

특히 주식을 해 본적이 없는 사람들은 매우 곤란합니다.

 

본인이 초보라면 AI 주식,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핀트, 파운트, 든든, 쿼터백은 연금저축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글쓴이는 AI 주식의 꽃이 바로 연금저축이라 생각합니다.

약간의 수수료는 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정말로 편합니다.

 

다른 곳에서 연금 계좌를 만들었다 해도 운영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비슷한 상품으로는 TDF로 위험자산, 안전자산 비중을 조절해서 운영해주는 상품도 있습니다.

물론 성과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글쓴이도 핀트 연금저축을 운영중입니다.

몇년 굴린 후 다시 한번 포스팅을 할 생각입니다.

 

본인이 직접 진행을 하고 싶다면 ETF 상품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국내주식형 ETF는 원래 비과세 상품이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사지 마세요.

 

종합소득세 관리 방법

 

1년에 1,200만원이 넘게 되면 종합소득세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저축연금 계좌가 하나 더 있으면 무척 유용합니다.

 

입급을 통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즉 당신이 1,200만원이 넘을것 같다면 그 넘는 금액에 대해 또 다른 연금계좌에 넣으면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노후에 얻는 소득이 저축연금 하나뿐만이 아니겠죠?

좀 똘똘한 투자자들 기준으로는 1년에 1,200만원을 넘을 가능성이 무척 높아집니다.

 

그래서 개인연금 계좌는 여유가 되면 1개가 아닌 2개를 만들어 놓는 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연금 수령 개시가 시작되면 해당 계좌로는 더 이상 돈 납입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금 저축 계좌는 1개가 아닌 2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

연금저축펀드 동일힌 증권사에 추가 개설하는게 관리하기 편하겠지만, 다른 증권사로 하는걸 추천합니다.

 

매수를 했는데 두개 중에 한 계좌만 수수료 할인 혜택이 적용 되는 문제점이 생기는 분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저축연금계좌 2개가 된다면, 1개는 55세에 연금 수령을 시작하고 나머지 1개는 65세에 수령을 시작하는 것이 좋겠죠.

 

글을 마치며

 

세상에는 수많은 저축, 투자 상품들이 존재합니다.

이중 가장 기본적으로 해야 할 것은 은행 적금이나 예금도 아니요, 금과 은도 아니고 해외주식도, 비트코인도 아닙니다.

 

1순위야말로 연금저축펀드 입니다. 

연금저축펀드야 말로 가장 유용하고 현명한 투자입니다.

 

당신이 직장인이나 주부, 백수, 건물주, 프리랜서, 사업가, 자영업, 학생....어떤 모습이던간에 연금저축펀드 만큼은 하시길 바랍니다. 

 

댓글()